(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바레인 교통통신부(MTT), 이번 제휴의 엄청난 잠재력과 에어아시아의 국제 네트워크 확장 전략에서 중동의 요충지로서 바레인의 역할 강조
마나마, 바레인, 2025년 11월 4일 -- 캐피털 A 버하드(Capital A Berhad)(이하 '캐피털 A')가 바레인을 에어아시아(AirAsia)의 중동 거점으로 삼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오늘 바레인 교통통신부와 나란히 의향서(LOI)에 서명했다. 항공 산업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지역과 아세안(ASEAN) 지역을 연결하는 일종의 가교를 건설하려는 거시적 제휴가 시작된 셈이다.

의향서는 바레인 왕국과 아세안 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관문을 세우려는 공동 목표를 가진 캐피털 A와 바레인 간의 더욱 긴밀한 항공 및 경제 협력에 관한 포괄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의향서에는 향후 항공 운영, 화물 및 물류, 정비 역량, 인재 개발 전반에 관한 다각적인 협력 방안이 개괄적으로 명시되었다.
캐피털 A의 토니 페르난데스(Tony Fernandes) 회장은 "이번 제휴를 계기로 업계의 판도가 바뀔 것이다. 조만간 캐피털 A의 항공 사업 구조조정이 완료되면, 캐피털 A와 에어아시아 둘 다 기존 항공 시장의 질서에 큰 변화를 불러올 과감한 범세계적 성장 단계에 돌입하고, 바레인은 에어아시아의 의미심장한 중동 지역 거점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그는 "에어아시아는 혁신을 밑거름 삼아 성장해 왔으며, 저가 항공 사업 모델을 부단히 재정립하고 있다. 에어아시아는 본거지인 말레이시아를 넘어 주변 국가에도 항공사를 설립하는 개척 정신을 발휘하여 이미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 거점으로 사세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바레인은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에어아시아의 혁신 정신과 개척 정신을 재현하여 '이제 누구나 비행할 수 있다(Now Everyone Can Fly)'라는 에어아시아의 사명을 이어받는다. 그리고 이번 제휴에서 모색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가 바로 그러한 실천 의지의 증거이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토니 페르난데스 회장은 "미래의 항공 산업은 국경을 초월해 다수의 전략적 요충지를 촘촘히 연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에어아시아는 2030년 전에 바레인에 새로운 현지 법인 항공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과 별도로, 매일 25회 이상 바레인과 에어아시아의 주요 아세안 지역 거점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항하여 향후 5년간 2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할 계획이다. 주요 수도를 오가는 노선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경제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인구 규모나 경제 규모 면에서 수도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와 신흥 도시로 운행 노선을 확충하여 사람, 무역, 노동력, 화물의 새로운 흐름을 창출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바레인 왕국 교통통신부 장관 셰이크 압둘라 빈 아흐메드 알 칼리파(Shaikh Abdulla bin Ahmed Al Khalifa) 박사는 "경제 비전 2030(Economic Vision 2030)에 따라 경제를 다각화하려는 바레인의 포부가 캐피털 A 및 에어아시아와의 이번 제휴로 추진력을 얻게 되었다. 이번 제휴로 인해 중동 지역 관광 및 물류 중심지로서 바레인의 입지가 더욱 굳건해지고, 아시아, 중동, 유럽, 아프리카, 미국을 연결하는 전략적 가교 구실을 하는 바레인의 역할이 한층 더 중요해졌다. 관광객이나 여행객뿐만 아니라 업무 목적의 승객도 이번 제휴 방식의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그와 동시에, 바레인의 고학력 인력들이 탐낼 만한 전문 기술직 일자리가 창출되고, 바레인의 경제 발전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에어아시아는 의향서에 따라 향후 5년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바레인으로 가는 항공편을 개설하는 방안과 더불어, 이후 유럽과 미국으로 연결되는 환승편을 신설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에어아시아는 바레인에 새로운 현지 법인 항공사를 설립하여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대도시로 협동체 항공기를 운항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에어아시아는 2030년 전에 매일 25회 이상 바레인을 경유하는 항공편을 운항하여 향후 5년간 2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고, 바레인에 약 30억 바레인 디나르(미화 80억 달러)의 경제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에어아시아의 이번 사세 확충 덕분에 항공 및 서비스 생태계에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에어아시아는 다년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바레인 국적의 조종사, 승무원, 기술자, 지상직 인력을 교육하고 채용할 예정인데, 첫해에만 1000명 이상 채용해 바레인의 경제 발전 목표 달성에 일조할 계획이다.
캐피털 A 산하의 정비, 수리, 정밀검사(MRO) 전문 회사인 아시아 디지털 엔지니어링(Asia Digital Engineering: ADE)은 협폭동체 항공기와 광폭동체 항공기를 모두 정비할 수 있는 격납고와 작업장을 포함한 최첨단 시설을 건립하여 바레인에서 중요한 입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아시아 디지털 엔지니어링은 이 시설 건립에 발맞춰 에어버스(Airbus)와 보잉(Boeing) 항공기에 관한 고급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바레인 현지 인력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른 MRO 처리 시간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와 같은 목표가 달성된다면 국내 및 지역 항공사가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하고 추가 수익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시설 건립 계획에서는 바레인을 중동 최고의 MRO 센터로 만들겠다는 ADE의 확고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바레인을 교두보로 삼아 창립 이후 처음으로 아시아 너머로 사세를 넓히겠다는 각오를 다진 캐피털 A의 물류 자회사 텔레포트(Teleport)는 바레인에 전용 화물기를 배치하여 중동, 유럽, 아프리카,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의 항공 노선을 강화할 계획이다. 텔레포트는 이와 같은 전략적 행보를 통해 국제 물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아시아, 중동, 그리고 그 너머 지역 간의 전자상거래 흐름을 한층 더 개선할 것이다.
이번 제휴 발표는 캐피털 A가 모든 항공 사업 매각 조건을 충족하여 하나의 에어아시아 그룹으로 통합함으로써 여러 거점의 환승 노선을 활용하는 저가 항공사로 거듭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요인을 제거한 최근의 중요한 행보와 직결된다. 에어아시아 그룹은 세계 항공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 캐피털 A는 상호 보완적인 여행 및 디지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양사가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전 세계 고객과 파트너에게 더욱 촘촘하게 연결된 미래를 선사하겠다는 각오로 힘을 합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