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싱가포르 2025년 7월 18일 --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2025 성장 아시아 서밋(Growth Asia Summit 2025)에서 비나밀크(Vinamilk)가 기조연설자로 초청된 유일한 베트남 기업으로 주목을 받았다. '성장 아시아 서밋'은 아시아의 식품, 음료, 영양 산업의 성장 기회를 다루는 최대 규모의 포럼이다. 비나밀크는 혁신적인 6-HMO 영유아용 조제분유로 깊은 인상을 남겼고, 소아 영양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아시아의 유제품 산업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이번 서밋에서 비나밀크의 존재감은 상징적이다. 과거 전쟁 이후 우유 부족으로 어려움 겪었던 국가가 비나밀크를 선두로 영양 강국으로 부상한 것이다. 비나밀크는 현재 유제품 브랜드 가치 순위 6위에 올라 있고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의 '2023 식품 및 음료 (Food and Drink 2023)' 순위에서 동남아시아 최고 가치 브랜드로 선정됐다. 또한 포춘(Fortune)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2024년)에 선정된 유일한 베트남 유제품 회사로서 이 지역에서의 강력한
상하이 2025년 7월 22일 -- 상업용 서비스 로봇 전문기업 키논 로보틱스(KEENON Robotics)가 글로벌 시장에서 배송 서비스 로봇, 음식 배달 로봇, 청소 로봇 부문 출하량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18일 IDC가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IDC가 공개한 '2024 글로벌 상업용 배송 서비스 로봇 시장 점유율'과 '2024 글로벌 상업용 청소 로봇 시장 점유율'에 따르면, 키논 로보틱스는 두 부문 모두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024년 상업용 서비스 로봇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간 가운데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출하량의 84.7%를 차지했다. IDC에 따르면 키논 로보틱스는 배송, 청소, 소독, 안내 로봇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출하량 점유율 22.7%로 업계 1위를 차지했다. 이 회사의 대표적 배송 로봇은 식품 서비스, 의료, 호텔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급속히 확장하고 있는 글로벌 배송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도 키논 로보틱스는 29.8%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또한, 40.4%에 달하는 압도적인 점유
트리젠, 리히텐슈타인, 2025년 7월 22일 --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면서 현대 생활의 모든 분야를 재정의하는 가운데 열리는 '에드히어로즈 글로벌 포럼 2025(EdHeroes Global Forum 2025)'는 교육계가 당면한 중대 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바로 미래 교육은 디지털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공평하고 포용적이며 인간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올해 포럼에선 글로벌 리더, 교육자, 기술 전문가, 활동가들이 모여 교육에 책임감 있고 윤리적으로 기술을 시급히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전 세계 시간대에 맞춰 순차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 포럼은 어느 지역도 소외되지 않고 전 세계 모든 지역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교육에서의 혁신과 기술(Innovation and Technology in Education)'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부터 적응형 학습 시스템까지 다양한 디지털 도구가 어떻게 교실에서 사람 간의 연결을 대체하기보다 강화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알리나 바이멘(Alina Baimen) 에드히어로즈 CEO 겸 공동설립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선전, 중국 2025년 7월 21일 -- 오는 9월 1일부터 3일까지 'SIAL 선전 2025(SIAL Shenzhen 2025)'가 선전 컨벤션 및 전시 센터(푸톈)에서 개최된다. 아시아 식음료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이번 행사에는 50개국 및 지역에서 11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참가하고, 6만 7000명 이상의 업계 전문가가 방문할 예정이다. 선전은 아시아 무대로 향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며, 대륙 간 무역을 위한 전문 물류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글로벌 혁신과 지역 경쟁력의 만남이번 전시회에서는 식음료(F&B)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14개 제품 구역이 마련되며, 주요 품목은 다음과 같다.재료 및 향신료: 건강 성분 추출물, 발효 소스, 희귀 향신료.냉동 및 간편 조리식품: 즉석 가열 훠궈, 덮밥류, 냉동 채소스낵 및 베이커리: 프리미엄 초콜릿, 김부각, 기능성 스낵, 구기자와 말차를 활용한 퓨전 페이스트리음료 및 신개념 차 음료: 전통차, 과일 인퓨전, 인기 밀크티신선 농산물 및 냉동 식자재: 유기농 채소, 개별 급속 동결(IQF) 채소, 이력 추적 곡물조리식품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선전, 중국 2025년 7월 17일 -- 화웨이(Huawei)가 '2025 글로벌 교육 및 의료 파트너 중국 컨벤션(2025 Global Education and Healthcare Partner China Convention)'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40개국에서 300명 이상의 협력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화웨이는 글로벌 교육 및 헬스케어 파트너 연합(Global Education and Healthcare Partner Alliance, GEHPA)을 공식 출범했다. 연합은 업계 파트너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상호 강점을 결합해 상생 협력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고품질의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GEHPA 참여 기관들은 공동으로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해 전 세계 교육 및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교육과 의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웨이 엔터프라이즈 영업부 파트너 개발 및 상업•유통 사업부 어니스트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국내 소비자들의 큰 사랑에 힘입어 두 번째 캠페인 전개 타이베이 2025년 7월 17일 --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대만의 싱글 몰트 위스키 브랜드 카발란(Kavalan)이 오랫동안 독점 파트너로 협력해온 한국의 골든블루 인터내셔널(Golden Blue International)과 함께 '팀 카발란(Team Kavalan)' 두 번째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첫 번째 캠페인에서 거둔 압도적인 성공의 여세를 몰아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창의성, 장인 정신, 세계적 수준의 위스키를 기념하는 전국적인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캠페인의 메인 테마는 '하나의 위스키, 두 가지 관점(One Whisky, Two Perspectives)'으로, 앞으로 12개월 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수준의 바텐더 8명이 팀을 이뤄 카발란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한 특별한 시그니처 칵테일을 각각 선보인다. 각 업장에서 선보인 칵테일은 각 바에서 3개월 간 경험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역동적인 동시 체험 기회를 맛볼 수 있다. 이번 캠페인은 각 2팀씩 총 4회에
-- SFO1 결제 단말기에 장착된 8인치 터치 스크린은 결제 기능과 마케팅용 디스플레이를 통합해 매장 내 결제 경험을 혁신 뉴욕, 2025년 7월 16일 -- 선도적인 기업들이 선택하는 글로벌 금융 기술 플랫폼 아디옌(Adyen)이 도시형 주스바이자 커피 브랜드인 조앤더주스(JOE & THE JUICE)의 매장 내 결제 경험을 혁신하고 있다. 아디옌은 파트너십에 따라 조앤더주스에 자사의 독점 멀티미디어형 카운터 단말기 SFO1을 제공하고 있다. 조앤더주스는 10년 이상 아디옌과 협력해 결제 운영을 간소화하고 전 세계 사업의 효율적 확장을 도모해왔다. 조앤더주스는 미국 시장, 특히 뉴욕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아디옌의 기술을 활용해 매장 내 고객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앤더주스는 가장 최근 아디옌의 SFO1 단말기를 도입함으로써 포스(POS)에서 원활한 결제와 브랜드 참여 및 고객 충성도 프로그램을 통합해 운영하는 중대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를 통해 조앤더주스는 실시간 데이터와 피드백을 통해 각 거래를 고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전환하고, 브랜드
Bar Leone, No.1에 오르며 Perrier가 후원하는 The Best Bar in Asia로 선정 선정 목록에는 신규 진입 바 20곳과 아시아 20개 지역을 아우르는 바들이 포함돼 방콕에선 Bar Us가 No.4로, Amaro Lucano가 후원하는 The Best Bar in Thailand로 선정되는 등 7개 바가 목록에 이름 올려 방콕 Vesper (No.29), Rémy Martin Legend of the List Award 수상 프놈펜 Sora (No.65), Ketel One Sustainable Bar Award 수상 자카르타 Modernhaus (No.12), Three Cents Best New Opening Award 수상 방콕 Dry Wave Cocktail Studio (No.5), Disaronno Highest New Entry Award 수상 홍콩과 상하이 Coa (각각 No.17과 No.85) 의 업계 베테랑 Jay Khan, Roku Industry Icon 선정 영예 서울 Alice, No.13로 순위가 33계단 상승해 Nikka Highest Climbe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서울 '최고 학생 도시 순위' 1위에 등극…런던은 3위로 밀려나 런던 , 2025년 7월 15일 -- 서울이 QS 최고 학생 도시 순위(QS Best Student Cities Ranking)에서 6년 연속 1위를 지켜오던 런던을 밀어내며 세계 최고의 학업 도시로 선정됐다. 서울은 강력한 국제적 매력과 우수한 대학 선택권 덕분에 순위가 두 계단 상승했다. 반면 런던은 생활비 부담(Affordability) 지표가 하락하면서 3위로 순위가 내려앉았다. QS는 58개 국가와 지역에서 150개 도시를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 미국과 영국이 각각 16개 도시로 가장 많이 순위에 포함됐다. 빈이 상위 10위에 처음 진입했으며, 쿠알라룸푸르(12위), 타이베이(14위), 홍콩(17위)이 상위 20위에 역시 최초로 이름을 올렸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서울이 세계 최고의 학생 도시로 인정받게 되어 자랑스럽다"면서 "이번 성과는 전 세계가 한국 고등 교육 시스템을 신뢰하고 있으며, 서울이 학문적 우수성과 활기찬 문화
(사람의 풍경 peopleview 피플뉴스) 항저우, 중국 2025년 7월 10일 -- 하이크비전(HIKVISION)의 자회사인 하이크마이크로(HIKMICRO)가 고정밀 코리올리 및 초음파 유량계를 출시하며 글로벌 계측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이러한 전략적 확장은 생산 관리, 예측 유지관리 및 안전을 하나의 경제적 솔루션으로 통합한 종합 산업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회사의 야심 찬 목표를 향한 또 하나의 진전이다. 하이크마이크로는 칩 설계 및 제조, 핵심 알고리즘 개발, 완전 테스트 및 생산을 통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제조업체 중 하나로, 산업 전반에 고급 열화상 기술 공급업체로 잘 알려져 있다. 칩부터 시스템을 아우르는 하이크마이크로의 통합적 접근 방식은 높은 가격을 유지하던 업계 거물들의 독점 구조를 깨뜨렸고,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업이 예측 유지보수를 도입하고 생산 안전을 개선할 수 있었다. 스테판 리(Stefan Li) 하이크마이크로의 해외 시장 이사는 "현재 공장에 필요한 것은 바로 생산 제어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더 경제적인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그는
Styrolution® PS 158K BC100으로 제작된 식품 트레이가 일본의 주요 유통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 혁신적인 소재는 100% 바이오 기반 재생 원료로 생산되었으며, 기존 폴리스티렌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172%까지 절감합니다. 글로벌 식품 접촉 규정을 완벽히 준수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했습니다 도쿄, 2025년 7월 10일 -- 스티렌 계열 소재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INEOS Styrolution이 100% 바이오 기반 재생 원료로 제조된 폴리스티렌 제품 Styrolution® PS 158K BC100의 상업화에 성공했습니다. 해당 소재는 2025년 초부터 일본의 주요 유통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식품 트레이 형태로 출시되어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Styrolution® PS 158K BC100은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 인증을 받은 매스 밸런스(Mass Balance) 방식을 적용하여, 100% 바이오 기반 원료로 생산